국가공무원 총정원 '2만명 확대' |
---|
구분
뉴스
등록일
2013-03-28
|
관련자료
|
경찰·소방·복지 부문 증원…공무원 정원 100만 육박 국가공무원 총정원 상한이 2만명 늘어난다. 지난 24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는 행정기관에 두는 국가공무원 정원의 최고한도를 현행 27만3,982명에서 29만3,982명으로 2만명 확대하는 내용의 국가공무원 총정원령 개정안을 공포했다. 이는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 선거관리위원회, 감사원소속 공무원과 검사 및 교원을 제외한 숫자다. 국가공무원의 총정원 상한이 확대된 것은 IMF 위기로 정부와 공공부문의 규모를 줄인 1998년 이후 15년 만이다. 국가공무원 증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인 경찰·소방 관련 공무원과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단계적 증원 계획을 고려한 개정이라는 것이 안행부의 입장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정부 조직 개편으로 2개 부처를 신설했지만, 공통 부서 인력 감축과 한시 기구 폐지로 행정부 공무원 정원이 25만8,032명에서 25만7,933명으로 99명 줄었다고 밝혔다. 일부 언론은 행정부 정원을 줄인 조치에 대해 ‘큰 정부’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한 행보로 보고 있다. 한편,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추구한 이명박 정부의 정책으로 힘들어했던 공무원 수험생들은 박근혜 정부의 공무원 증원 소식이 전해지자 기대에 찬 시선을 감추지 못했다. 올해로 3년째 공무원 시험에 도전 중인 수험생 A씨는 “해마다 응시인원은 늘어나는데, 채용규모는 이를 따라가지 못해 부담이 컸다”라며 “새 정부가 청년 실업 문제로 고통 받고 있는 세대들의 상처를 이해하고 공무원 증원에 더욱 노력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일부 수험생은 공무원 증원이 행정직렬이 아닌 경찰, 소방, 복지 등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며 과도한 기대는 금물이라는 의견을 냈다. 수험생 B씨는 “아직 새 정부의 구체적인 공무원 채용계획이 발표되지 않았지만 현재 준비 중인 직렬이 아닌 타 직렬의 채용규모가 늘어나면 직렬 변경을 고민할 것 같다”고 토로했다. 올해만 하더라도 세무직의 채용 규모가 이전해보다 늘어나고, 9급 공채에 선택과목이 도입되면서 직렬 간 구분이 모호해져 직렬 전환을 상담하는 수험생들의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수험전문가들은 공무원 증원 효과가 올해 당장 영향을 미치기엔 어려우니 반년도 남지 않은 7·9급 공무원 시험 준비에 매진할 것을 조언했다. [출처] 공무원 저널 |
번호 | 제목 | 등록일 |
---|---|---|
1 | 사회복지 공무원 “현장인력 증원 절실해” | 2013-03-28 |
2 | 국가직 9급 경쟁률 “5년간 추이는?” | 2013-03-28 |
3 | 사회복지 신규 채용규모 “작년의 반토막” | 2013-03-28 |
4 | 법원직 9급, 실질경쟁률 12.9대1 | 2013-03-28 |
5 | 국가직 7급 ‘장애인 편의지원 신청자, 247명’ | 201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