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뉴스

게시판 상세페이지
시간선택제 공무원 “전성시대 찾아오나”
구분 뉴스
등록일 2017-03-08
관련자료

시간선택제 공무원 “전성시대 찾아오나”



행자부 시간선택제 직위 작년대비 112개 확대

시간제 근무적합분야 요구정원 20% 이상 계획





박근혜 정부의 핵심 과제인 ‘시간선택제’ 공무원이 다시 한 번 증원될 전망이다. 지난달 28일 행정자치부는 「2017년도 정부조직관리지침」을 수립하면서 “시간선택제 정원 확대를 의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초 2017년 행자부 업무계획 보고를 구체화한 것으로, 행자부는 시간선택제 직위를 100개 이상 추가로 늘리는 한편, 향후 지속적인 확대를 위해 각 부처에서 인력 증원 요구 시 시간선택제 직위를 일정 비율 이상 발굴하도록 의무화할 계획이라고 올해 초에 언급한 바 있다.



시간선택제 정원 확대를 위해 행자부는 2016년 말 기준 395개인 시간선택제공무원 직위를 112개 늘어난 507개까지 확대하고, 업무성격상 불가능한 분야를 제외하고 시간선택제 근무적합분야는 요구정원의 20% 이상을, 일반분야는 10% 이상을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으로 요구할 계획이다.



행자부에서는 시간선택제 근무적합분야로 전문자격 및 지식을 활용하는 ‘회계검사’, 대체가능한 정형화된 업무인 ‘민원’, 특정시간대 업무인 ‘출입국관리·통관’, 행정관리 업무인 ‘시스템 관리’ 등을 예시로 들었다.



행자부는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활성화를 통해 경력단절 여성 등의 채용이 확대되고, 출입국·통관 등 주기적·특정시간대 업무에 보다 신축적으로 대처해 정부 서비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이외에도 행자부는, 안정적 일자리 공급, 양질의 공공서비스 제공에 대한 사회적 욕구에 맞춰, 관련 기능 및 인력 보강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향후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더 많은 인원을 선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한, ‘정부조직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해 기구개편, 인력변동 등 조직관리 전 과정의 온라인화를 통해 정부조직의 과학적 관리를 지원하고, 인터넷을 통해 일반국민에게도 공개할 예정이다.



윤종인 행정자치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올해는 국민안전 강화 등 현안문제 해결과 일자리 만들기, 공공서비스 확충 등을 위해 조직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각 부처가 자율성과 책임성을 가지고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정부조직을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사혁신처도 2018년까지 국가직 공무원의 시간선택제 비율을 현재 일반직 정원의 1% 이상에서 일반직 정원의 3% 이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2월 초에 밝힌 바 있어, 시간선택제 공무원 수요가 앞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지난해 지방직 9급 일반행정 시간선택제 모집의 지원자는 총 8,069명으로, 4,217명이 지원한 2014년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난 바 있다.



<출처: 공무원저널, 신희진 기자>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등록일
1 국민안전처 소속 경찰공무원 1차 경쟁률 발표 2017-03-07
2 법원직 9급, 되살아난 ‘1교시의 악몽’ 2017-02-27
3 중앙소방 경력경쟁채용시험 선발계획 공고 2017-02-21
4 소방 채용 “지역별로 희비 엇갈려” 2017-02-21
5 경찰 채용 ‘우리 지역 얼마나 치열했나?' ? 제주 2017-02-21